◈ IMD (Intermodulation Distortion : 혼변조 왜곡)
Intermodulation으로 인해 발생한 왜곡 신호 혹은 그 왜곡 신호의 크기를 의미한다.
IMD의 크기를 말하기도 하므로, fundamental과 IM3의 차이를 말하기도 한다.
두 신호의 차이 값에 – 부호를 붙여서 dBc단위로 표현한다.
IMD 신호 자체는 낮을수록 좋다. 측정값 역시 -방향으로 낮을수록 좋다.
◈ P1dB (1dB Gain Compression Point : 1dB 이득압축점)
포화되지 않는다고 가정한 전력과 실제로 포화되기 시작한 곡선과의 차이가 1dB 되는 출력 전력
즉, Gain이 1dB 줄어든 점에서의 출력 전력.
◈IP3 (Third Order Intercept Point : 3차 교차점)
fundamental 출력 전력과 IM3 성분이 포화되지 않고 계속 증가한다는 가정하에
두 전력점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한다. (같은 전력이 되어버리는 가상의 전력점)
IP3가 높다는 말은 IM3 성분이 원신호에 비해 더욱 작다는 의미이므로,
IP3 값은 클수록 좋다.
출처: RFDH (RF Design House)
'H.W Study > RF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송선로란 무엇인가 (0) | 2021.03.18 |
---|---|
Harminic과 Intermodulation의 이해 (0) | 2021.02.12 |
RF 송수신 시스템 구성도 (0) | 2021.01.24 |
발진과 공진 (0) | 2020.11.02 |
RF의 기본구조 및 L,C의 의미 (0) | 2020.10.3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