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 투자 전,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가장 기본적인 지표인 PER과 PBR을 알아보자.
이 기업을 투자하기 전 이 기업의 현주가와 기업의 이익관계를 나타낸 지표이니 꼭 알아야 될 사항이다.
위의 표는 네이버 금융에 들어가 보면 흔히 볼 수 있는 기업실적 분석표이다.
이번 글은 표의 많은 수치들 중 PER과 PBR을 먼저 보기로 한다.
1. PER(Price Eanrings Ratio)은 주가수익률이라고 부른다.
PER= 주가/주당순이익(EPS), 또는 시가총액/당기순이익으로 계산할 수 있다.
다시 말하면 주가가 EPS의 몇 배로 거래되는지를 알 수 있다.
PER가 높으면 회사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, 즉 고평가다
PER가 낮으면 회사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, 저평가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.
결론은 PER가 낮은 기업을 사는 것이 투자 측면에서 좋다고 볼 수 있다.
2. EPS(Earnings Per Share)는 주당순이익이라고 부른다.
EPS= 당기순이익/총 주식수로 계산할 수 있다.
1주당 얼마의 이익을 냈는가라는 것을 아는 지표이다.
당기순이익이 늘어날수록 EPS도 높아진다.
즉 EPS가 높을수록 주당가치가 높다는 것이다.
단 주식수를 추가로 발행할수록 EPS 낮아진다. 예를 들면 증자 또는 전환사채 발행이 있다.
결론은 EPS가 높을수록 좋다.
3. PBR(Price Book-value Ration)는 주가순자산비율이라 부른다.
PBR= 주가/주당순자산(BPS)으로 계산할 수 있다.
주가와 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것으로 볼 수 있다.
PBR이 1 이하는 기업이 가진 자산을 매각해도 기업의 가치보다 더 크다는 소리다.
한국시장에서 PBR 1 이하의 기업들이 생각보다 많다. 대표적으로 금융주가 있다.
PBR이 낮으면 저평가되고 있다는 뜻이지만 계속해서 저평가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1보다 낮다고
섣불리 매수해서는 안된다.
4. BPS(Book-value Per share)는 주당순자산이라 부른다.
BPS= 순자산(자산-부채)/ 총 주식수로 계산할 수 있다.
주식 한 주당 순자산으로 청산가치라고 부르기도 한다.
기업이 활동을 중지했을 때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 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.
PBR과 연관되며 BPS가 높을수록 좋다.
여담으로 표에 있는 2020.09인 3분기 실적은 기관들이 예측하는 컨센서스이다.
흔히들 이 수치보다 좋은 실적이면 어닝 서프라이즈, 실적이 예상보다 좋지 않으면 어닝 쇼크라고 부른다.
대다수 주식투자자는 기본적인 사항이므로 위의 내용들을 알고 있다고 본다.
하지만 과연 본인이 매수버튼을 누르기전 이 지표들을 보고 매수하는사람은 주식투자자중 얼마나 될지 싶다.
진정한 투자자라면 기본적인 숫자를 먼저 체크하고 투자했으면 한다.
매수후에 물려서 그 기업이 뭐하는 기업인지 실적은 어떤지 뒤늦게 알아보기보다 기본적인 것은 체크했으면 한다.
P.S) 부족한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.
댓글